연 혁
2016.1.22. 박경서, 정진성, 조효제, 서창록, 유남영, 이성훈 6인이 그동안 비공식적으로 논의되던 한국인권학회 창립을 본격적으로 준비하기로 함. |
2016.3.11. 고려대 국제대학원에서 “한국 인권학의 현황과 과제”를 주제로 한국인권학회 창립 준비 제1차 포럼을 가짐. |
2016.5.13. 고려대 국제대학원에서 한국인권학회 창립 준비 제2차 포럼을 가짐. |
2017.2.28. 국가인권위원회 강당에서 “19대 대통령 선거와 차기 정부의 인권정책”을 주제로 한국인권학회 창립 준비 제3차 포럼을 가짐 |
2017.2.28. 국가인권위원회 강당에서 “19대 대통령 선거와 차기 정부의 인권정책”을 주제로 한국인권학회 창립 준비 제3차 포럼을 가짐. |
2017.4.13. 서울시 NPO지원센터에서 한국인권학회 창립 준비 제4차 포럼을 가짐 |
2017.5.11. 고려대 국제대학원에서 한국인권학회 창립 준비 제5차 포럼을 가짐. |
2017.6.29. 제주인권회의 중 한국인권학회 창립총회를 가짐. 초대회장으로 정진성 서울대 교수를 추대함. |
2017.12.2. 서울대 아시아연구소에서 “인권학의 현재와 미래”를 주제로 2017년 하반기 학술대회를 가짐 |
2018.3.22. 한국인권학회 제1회 월례학술포럼 “한반도 안보위기와 북한인권: 새로운 인권 패러다임의 모색” 개최함. |
2018.5. 한국인권학회 사단법인으로 법인화함. |
2018.6.2. 고려대학교 인촌기념관에서 “혐오표현” “기업과 인권” “지자체와 인권도시” “젠더와 성성” 등 연구분과위원회 중심의 2018년 상반기 학술대회를 가짐. |
2018.7. 한국인권학회와 한국인권법학회가 학술지 “인권연구” 창간호를 발간함. |
북한인권분과 (분과장: 이원웅 가톨릭관동대 교수) |
2020. 11.18-20 “코로나19와 북한인권” 주제로 강릉 세인트존스호텔에서 국제회의 개최 |
2021년 2월 1일 북한인권분과 회원의 소통채널인 북한인권전략포럼 창설 |
2021년 2월 26일 제1차 북한인권전략포럼 월례회 개최 |